JAVA 26

변수 기본 (variable)

변수선언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이름을 지정하는 것 을 => "변수선언" 이라고 한다 문법표 데이터 타입 변수이름 데이터 타입 이란? 메모리의 크기와 저장되는 값을 결정함 (문법상 표현은 저장할 데이터의 타입을 주고 그러면 타입만큼 메모리에 공간이 확보가 되고 거기에 저장 공간에다가 부여할 변수이름을 지정하는게 바로 메모리의 변수를 만드는게 문법이다.) 1) 변수 선언 int depositAmount int => 인트는 4바이트 데이터 처리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그럼 4바이트 ㅁㅁㅁㅁ 공간이 만들어지고 즉, 변수만들어 주는것 이 변수에다 이름을 뭐라고 했냐면 depositAmount 라고 이름을 부여 했다. 이게바로 변수 선언을 한것, 그러면 변수 선언 했으면 데이터값 왜..

JAVA 2023.02.09

명령행 매개 변수

자바 프로그램 시행 시 전달받는 배열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프로그램 실행해 하면 main 이라는 메소드를 호출이 된다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소드 // 그런데 얘는 인자값으로 String 타입의 args 배열을 받는다 main 메소드가 실행하면서 인자로 받는 이 배열을 // [ ] 명령행 매개 변수 라고 이야기 한다 * 명령행 매개 변수의 실행 예 - 자바 프로그램 실행 시 String 변수 두 개 전달 : java Test apple banana peach

JAVA 2023.02.05

1차원 배열 확장for문

문법 for(변수 선언: 배열 변수){ // ()괄호 안에 반복 실행할 "배열 변수"를 주고 그 배열안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하나씩 // 하나씩 끄집어 냈을때 저장할 "변수 선언" 변수를 선언하면 된다 실행문 //그리고 "변수 선언" 안에 들어가 있는 변수를 실행한다 } for (int num : arr){ // num : 배열의 각 요소를 저장할 변수 // arr : 배열의 주소 값을 가지고 있는 변수 System.out.println(num); } 확장for문 예제 int[] arr = new int[5]; //new int[5]; 5개짜리 배열이 만들어 졌다. arr[0] =10; // 초기화가 되었다 arr[1] =20; // 초기화가 되었다 arr[2] =30; // 초기화가 되었다 arr[3] ..

JAVA 2023.02.05

1차원 배열 length 내장변수

length 문법 = > 변수이름.length * 배열의 길이 값을 갖는 내부 변수 5개의 배열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배열의 주소값을arr 이 가르키고 있다 그럼 내부적으로 배열이 생성 될때마다, 배열마다 length라는 변수가 자동으로 만들어지고 그 변수 안에는 현재 배열의 크기값 "5" 이 저장이 된다 그래서 배열의 크기를 알고 자 했을때 length 라는 변수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하는 방법은 배열의 변수 이름.length 라고 하면된다 예를 들어서 arr의 크기를 알고 싶다면 arr.length 라고 하면된다 그럼 5라는 값이 리턴 * length 사용 예제 int[] arr = new int[5]; //new int[5]; 5개짜리 배열이 만들어 졌다. arr[0] =10; // 초기화가 되었다 ..

JAVA 2023.02.05

1차원 배열 사용법

* 배열 선언 new 데이터 타입 [크기] // 배열 만들때 사용하는 기호가 "new" , 어떤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것인지 "데이터 타입" 이 들어가고 , 몇개를 만들것인지 "[크기]" 가 들어간다 new int[5]; // int 타입의 데이터를 5개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만들어라 new char[26]; // char 타입의 데이터를 26개 저장할 수 있는 변수를 만들어라 new String[10]; // String 타입의 데이터를 10개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만들어라 *배열 변수 선언 및 배열 선언 데이터 타입[] 변수 이름 or 데이터 타입 변수 이름[] int[] score = new int[5];// new int[5];배열 만들었어요 시작주소값 score에 집어넣기 이건 배열 주소를 가..

JAVA 2023.02.05

배열 개요 개념익히기

1)배열의 장점 배열이란? 동일한 타입의 변수들을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첫번째 변수의 메모리 주소값만 이용해 인접한 변수를 찾아서 사용할 수있는 구조를 배열이라고 한다 * 변수 a-> b -> c 순서로 접근해야 하는 경우 가장 빠른 접근 방법 * 배열을 쓰기 위해서 꼭 가지고 있어야 할것? 배열에서 주소값 계산할 때 1. 첫번째 변수의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2. 첫번째 변수에서 몇 번째에 떨어져 있는지 그 위치값만 알고 있으면 된다 그 위치값을 "인덱스" 라고 이야기한다 즉, 이 배열을 엑세스 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뭐가 필요하다? "첫번째 주소" 랑 "몇번째 떨어져 있는지 인덱스정보" 라는게 필요하다 * 변수의 주소 (첫 번째 변수의 주소 값) + (인덱스 x 데이터 타입) 1. 배열이..

JAVA 2023.02.05

조건문 if문

if문 - 조건의 결과가 true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문만 지정 - if문 문법 실행문1 if(조건){ 실행문2; } 실행문3 1. 실행문1 이 실행이되고 2. 조건 체크하고 3. true 조건이 트루 였을때 실행문2 가 실행이 되고 그다음 문장인 실행문3이 실행 4. false 일때 실행문3으로 가서 실행 if문 작성 예제 int score = 90; // int 스코어란 변수 선언하고 90이라는 값을 넣어주었다 String result=""; // String 문자열 저장할수 있는 result라는 변수를 선언 // ""; 60) { // if 조건체크한다 스코어가 60보다 크냐? result="합격"; // 그렇다면result 에다가 합격이라는 문자열을 집어 넣어라 } System.out.printl..

JAVA 202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