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변수선언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이름을 지정하는 것 을 => "변수선언" 이라고 한다
문법표
데이터 타입 변수이름
데이터 타입 이란? 메모리의 크기와 저장되는 값을 결정함
(문법상 표현은 저장할 데이터의 타입을 주고 그러면 타입만큼 메모리에 공간이 확보가 되고 거기에 저장 공간에다가 부여할 변수이름을 지정하는게 바로 메모리의 변수를 만드는게 문법이다.)
1) 변수 선언
int depositAmount
int => 인트는 4바이트 데이터 처리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그럼 4바이트 ㅁㅁㅁㅁ 공간이 만들어지고 즉, 변수만들어 주는것 이 변수에다 이름을 뭐라고 했냐면 depositAmount 라고 이름을 부여 했다. 이게바로 변수 선언을 한것,
그러면 변수 선언 했으면 데이터값 왜 만들었을까요? 바로 데이터값을 저장하기 위함이다. 데이터값 저장해서 나중에 계속 사용 하려고 변수를 만들었다
2) 변수 저장
변수 이름 = 값;
int depositAmount = 50000;
메모리(int)에 디파짓어마운트 하면 변수 선언 메모리에 depositAmount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4바이트짜리 공간을
만들어라 그리고 50000이라는 값을 depositAmount 에 저장해라 라고 하였다
3)변수 사용
변수 선언
int depositAmount ◀ 변수 선언 명령문 (앞에다 int라는 데이터타입을 주고 그 다음에 그 공간에다가 부여할 이름을 주었 )
depositAmount ◀ 저장된 값을 가져오는 명령 (앞에 데이터타입 을 선언하는 부분이 빠져있는데 이건 변수를 새롭게 만드는게 아니라 기존에 있는 변수를 찾아가라라는 뜻)
변수 이름 구분
"depositAmount" ◀ 단순 문자열
depositAmount ◀ 변수 이름
반응형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데이터 연산 (0) | 2023.02.10 |
|---|---|
| java 데이터 종류 Data type (0) | 2023.02.09 |
| 명령행 매개 변수 (0) | 2023.02.05 |
| 1차원 배열 알파벳 처리 (0) | 2023.02.05 |
| 1차원 배열 확장for문 (0) | 2023.02.05 |